UEFA 챔피언스리그 유럽챔피언스리그
UEFA 챔피언스리그 유럽챔피언스리그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럽 축구연맹이 주관하는 유럽에서 가장 우수한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대회!!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뛰는
UEFA 챔피언스리그 유럽챔피언스리그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챔피언스리그 가 시작할때 들을수있는
리그 데 샹피옹 이라는 노래를 들으면 진짜 가슴이 두근두근 ㅎㅎ
UEFA 챔피언스리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EFA 챔피언스리그(UEFA Champions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유럽에서 가장 우수한 축구 클럽들을 대상으로 매년 열리는 클럽 축구 대회이다. 1955년에 시작되었다. 유러피언컵(European Cup)으로 불리다가 1992년 UEFA 챔피언스리그로 개칭되었다. 보다 비중이 약한 대회인 UEFA 유로파리그와 이미 폐지된 UEFA 컵위너스컵과 비교된다.
해마다 7월쯤 시작되는 토너먼트 형식의 예선전을 통과한 10개 팀들과 조별 리그에 자동 진출한 22개 팀을 합친 총 32개 팀들이 8개 조로 나뉘어 각 조별로 4개 팀씩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본선 경기를 치른다. 매년 12월에 모든 조별 리그전이 종료되면, 각 조의 1, 2위 팀은 그 다음 해 2월부터 5월까지 계속되는 16강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또 각 조의 3위 팀은 UEFA 유로파리그의 32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유럽챔피언스리그의
가장 최근 우승 팀은 2018년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올림피스키 경기장에서 리버풀을 꺾고 우승한 레알 마드리드이다.
이 대회는, 유럽 프로 축구 세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대회이다. 대회 결승전은 보통 유럽 프로 축구의 모든 시즌 일정 가운데 가장 마지막 경기로 치러진다. 또한 유럽 대륙의 축구 선수들이 이적을 고려할 시에 챔피언스리그 32강 본선 경기 출전이 가능한 팀인가를 우선 순위로 고려할 정도이다.
줄여서 '챔스', 'UC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UEFA 챔피언스리그의 대표곡은 리그 데 샹피옹 (Ligue des Champions)이다.
유럽의 각 국 리그의 우승 팀간의 경기로, 유럽 챔피언 클럽 대회에서 유러피언컵 대회로 간소화된 이 대회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유럽 축구 연맹에 의해 시작된 것이 아니라 프랑스 스포츠지 레키프의 편집자인 가브리엘 아노에 의해 시작된 대회이다.
이 대회는 양 팀간 녹아웃 형식으로 1955-56 시즌부터 시작되었다. 각 팀들은 홈에서 한 경기를, 원정에서 한 경기를 치러 더 많은 승점(혹은 득점)을 얻은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자격을 획득하는 방식이었다. 참가 자격이 있는 팀은 각 국내 리그의 우승 팀과, 유러피언컵을 보유한 팀뿐이었다. 이러한 예선 방식은 1992년까지 계속되었다.
1992/93 시즌부터 이 대회는 UEFA 챔피언스리그로 개명되었고 1997/98 시즌부터 각국 리그 챔피언과 전년도 우승 팀만 참여하던 것에서 UEFA 점수에 따라서 성적이 좋은 리그 2위 팀들도 대회 참여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고 1999/2000 시즌부터는 현재처럼 상위 3개의 리그는 리그 4위 팀들까지 대회참여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다.
1991/92 시즌부터 토너먼트에 앞서 조별리그제를 도입하였다. 현재의 시스템은 2009년부터 적용되고 있다. 1960년부터 2004년까지의 본선 우승 팀은 현재는 없어진 인터콘티넨탈컵(코파 리베르타도레스우승팀과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그 이후로는 FIFA가 대회를 인계받아, 우승 팀은 자동적으로 다른 대륙의 클럽 선수권대회 우승 팀들과 함께 FIFA 클럽 월드컵의 출전권을 획득한다.
참가 자격
2015-16시즌부터 2017-18시즌까지 UEFA 챔피언스리그의 참가팀 수는 아래와 같다.(예선 포함)
1~3위 협회 : 각 4팀 참가
4~6위 협회 : 각 3팀 참가
7~15위 협회 : 각 2팀 참가
16~54위 협회 : 각 1팀 참가 (리히텐슈타인 제외)
1차 예선전
47~54위 협회의 리그우승 팀 8~10팀(2017~18 시즌부터 지브롤터 우승팀과 코소보 우승팀 참가)
2차 예선전
1차 예선전의 승리팀 4~5팀
16~46위 협회의 리그우승 팀 30팀 (리히텐슈타인 제외)
3차 예선전 (우승)
2차 예선전의 승리팀 17팀
13~15위 협회의 리그우승 팀 3팀
플레이오프전 (우승)
3차 예선전 (우승) 의 승리팀 10팀
3차 예선전 (비우승)
7~15위 협회의 리그 2위팀 9팀
6위 협회의 리그 3위팀 1팀
플레이오프전 (비우승)
3차 예선전 (비우승) 의 승리팀 5팀
4~5위 협회의 리그 3위팀 2팀
1~3위 협회의 리그 4위팀 3팀
조별 리그 (32팀)
플레이오프전 (우승) 의 승리팀 5팀
플레이오프전 (비우승) 의 승리팀 5팀
1~3위 협회의 리그 1위, 2위, 3위팀 9팀
4~6위 협회의 리그 1위, 2위 팀 6팀
7~12위 협회의 리그 우승 팀 7팀
저번 시즌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이 소속 국가 리그에서 챔피언스리그 본선 직행권을 얻으면 저번 시즌 유로파리그 우승팀이 잔여 자리를 승계한다.)
이전 시즌의 우승 팀도 자국 리그의 성적에 상관 없이 출전권이 부여된다. 그러나 시즌별로 한 협회당 5개 이상의 팀은 내보낼 수가 없기 때문에, 상위 1-3위의 협회 소속의 클럽이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하고 동시에 자국리그에서 5위이하의 성적을 기록했을시, 다음 시즌에 그 팀은 해당 협회 1부 리그의 4위 팀의 자리를 대신하여 출전하게 된다. 대신에 4위팀은 UEFA 유로파리그에 출전하게 된다.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려는 클럽은 스포츠 기준과 더불어, 자국의 협회로부터 허가를 받아야만 한다. 허가를 획득하려면 특정 경기장, 인프라, 재정 요건을 충족해야만 한다.